종로구 썸네일형 리스트형 만대까지 큰 복을 누리리라 경복궁(中) 경복궁은 조선이 건국된 지 3년여가 지난 1394년 12월에 착공되어 1395년 9월 말에 1차 완공되었습니다. 흔히 비교되는 명나라의 자금성보다 먼저 지어진 궁전입니다. 자금성은 1406년에 착공되어 1420년에 완공되었습니다. 즉, 경복궁이 자금성을 본따 지었다는 등의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완공 후 정도전이 궁궐의 주요 전각인 강녕전, 연생전, 경성전, 사정전, 근정전, 근정문 등의 이름을 정했습니다. 처음 완공 당시 경복궁의 규모는 390여 칸이었습니다. 경복궁은 세종대를 거치면서 제대로 궁궐다운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조선 전기 경복궁의 기본적인 형태는 세종 때 완성되었습니다. 이후 경복궁은 조선 전기 내내 조선의 정궁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세종대 이후에도 경복궁은 여러 왕을 .. 더보기 만대까지 큰 복을 누리리라 경복궁(上) 경복궁 이라는 이름은 정도전이 지었습니다. 태조 이성계가 궁궐의 이름을 지어 왕조가 만대까지 빛나도록 하라는 명을 받자 즉석에서 지었다고 합니다. 경복궁은 조선왕조의 법궁입니다 . 법궁이란 궁궐중 으뜸인 궁궐을 의미하는것입니다. 경복궁을 제외한 나머지 궁궐들은 이궁이라 불렀습니다. 경복궁은 법궁답게 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한양으로 천도를 하면서 가장 먼저 지어진 궁궐입니다. 현재의 모습은 임진왜란으로 불에탄 후 200여년간 방치되다 흥선대원군이 재건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것입니다. 임진왜란 전의 경복궁과는 차이가 있는 모습이라고 합니다. 조선 초기의 경복궁은 최대 5000칸까지 서서히 확장 되었고 조선 후기 재건된 경복궁은 애초에 7400칸이 였습니다. 조선초기 경복궁은 근정전에 청기와를 얹었다거나 세.. 더보기 대한제국의 황궁 덕수궁의 서양식 건물들 원래 왕가의 사저인 명례궁이였으나, 임진왜란 직후 행궁으로써 임시 정궁 역할을 했으며, 대한제국 시기에 황궁(皇宮)으로 쓰였습니다.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서울특별시청 건너편에 위치해 있습니다. 원래 세조가 며느리 수빈 한씨를 위해 특별히 지어준 사저였고 이후 한씨의 큰아들 월산대군이 소유했습니다. 한참 후 임진왜란 후 몽진에서 돌아온 선조가 월산대군의 저택이자 별궁인 명례궁을 개조하여 임시 거처인 정릉동 행궁으로 사용한 것이 시초입니다. 광해군, 인조 연간에 창덕궁이 중건된 후 명례궁은 잊혔다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고종이 1897년에 이 곳으로 돌아오면서 역사의 전면에 재등장해 10년 간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사용됐습니다 주변에 외국 공사관이 밀집해있다는 지리적인 이점을 이용하려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