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의 마지막 신도시 정조의 꿈 수원화성 호위를 엄하게 하려는 것도 아니요, 변란을 막기 위한 것도 아니다. 여기에는 나의 깊은 뜻이 있다. 장차 내 뜻이 성취되는 날이 올 것이다. 조선 정조 정조실록 15년(1791) 수원화성은 조선시대 정조때의 지은 수원시의 성곽 건축물 입니다.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도 등록되었으며, 치밀한 사전 계획 하에 만들어진 계획도시이자 조선의 마지막 신도시 입니다. 원래 유네스코에 등재되는 건축물은 원본 그대로인 건축물이어야 하는데 수원화성은 70년대에 대대적인 복원을 거쳐 이러한 규칙에 맞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수원화성을 계획하면서 그림과 글로 설계도와 내용을 철저하게 남겨놓은 화성성역의궤 덕분에 원형에 가깝게 복원할 수 있었다는 점을 인정받아 이례적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 더보기 조선의 신전 종묘 생각하건대 종묘의 위패는 나라의 대본이니, 종묘는 빛남이 있어야 하고, 증제와 상제는 나라의 대사이니 공명해야 한다. 이는 모두 선대부터 왕이 될 징조를 갖게 되어 나에게 이르러서 한 집이 나라로 변하니, 이번 성전을 보고서 내가 심히 스스로 경사로 여겼노라. 조선 태조실록 태조4년(1395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1-2번지에 자리한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의 유교 사당 입니다. 면적은 186,786 ㎡. 태묘라고도 합니다. '종묘사직'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 전제왕조 당시 왕실과 나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였습니다. 1963년 1월 18일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1995년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정식 등재하였습니다. 우리가 .. 더보기 조선 왕실의 위엄과 권위 한양도성 서울 한양도성은 조선 시대 한양을 둘러싼 도성입니다. 좁은 의미로는 서울을 둘러싼 성곽과 문을 지칭하나, 넓은 의미로는 성곽과 그 안의 공간을 말합니다. 조선 시대에는 줄여서 한성으로 불렸으며, 사적으로서의 명칭은 지정 당시 서울성곽으로 정했다가 2011년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습니다. 4대문의 경우 숙정문은 산 속에 위치한 덕분에, 숭례문과 흥인지문은 임진왜란 당시 가토 기요마사와 고니시 유키나가가 입성한 곳이라는 타이틀 덕분에 일제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었지만 돈의문은 헐려버렸고 그 자리에 도로와 건물이 들어서버려 현재로서는 복원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또한 안타깝게도 남대문은 2008년 숭례문 방화 사건으로 인해 옛날 그대로의 모습을 잃고 처음부터 다시 복원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성벽의 높이는..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