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조선

만대까지 큰 복을 누리리라 경복궁(下) 새 궁궐을 경복궁이라고 이름짓기를 청하오니, 전하와 자손께서 만년 태평의 업을 누리시옵고, 사방의 신민으로 하여금 길이 보고 느끼게 하옵니다. 조선 태조실록 태조4년(1395년) 경복궁은 임진왜란 후로 273년간 재건하지 못하다가 1865년 4월 26일(고종 2년 음력 4월 2일) 고종의 수렴청정을 하던 신정왕후의 지시로 중건이 시작되어 같은 해 5월 7일(음력 4월 13일) 공역이 시작되어 1868년 6월 말에 공사를 마쳤으며, 7월 2일 국왕과 왕실의 경복궁 이어가 이루어져 정무를 개시하였습니다. 경복궁의 재건을 주도한 흥선 대원군은 권력을 장악하였습니다. 공사를 마치기까지 당백전을 발행하는 등 7년이 넘게 걸렸는데, 경복궁에는 다른 궁궐과 마찬가지로 승정원, 홍문관 등 기타 여러 관아가 정비되어 있.. 더보기
만대까지 큰 복을 누리리라 경복궁(上) 경복궁 이라는 이름은 정도전이 지었습니다. 태조 이성계가 궁궐의 이름을 지어 왕조가 만대까지 빛나도록 하라는 명을 받자 즉석에서 지었다고 합니다. 경복궁은 조선왕조의 법궁입니다 . 법궁이란 궁궐중 으뜸인 궁궐을 의미하는것입니다. 경복궁을 제외한 나머지 궁궐들은 이궁이라 불렀습니다. 경복궁은 법궁답게 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한양으로 천도를 하면서 가장 먼저 지어진 궁궐입니다. 현재의 모습은 임진왜란으로 불에탄 후 200여년간 방치되다 흥선대원군이 재건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것입니다. 임진왜란 전의 경복궁과는 차이가 있는 모습이라고 합니다. 조선 초기의 경복궁은 최대 5000칸까지 서서히 확장 되었고 조선 후기 재건된 경복궁은 애초에 7400칸이 였습니다. 조선초기 경복궁은 근정전에 청기와를 얹었다거나 세.. 더보기
민주주의에 꽃인 투표를 1430년에 실시한 세종대왕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끝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위해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쉬이 익혀 날마다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다. (훈민정음 서문의 일부) 조선시대에도 국민투표가 있었습니다. 세종은 토지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새로운 세법인 공법을 추진하면서 최종적으로 백성들의 찬반 의견을 묻고자 했습니다. 투표 3년 전인 1427년 세종은 창덕궁 인정전에 나가 과거시험 문제를 내면서 공법에 대한 견해를 묻는 등 세법을 확정하기 전에 미리 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했습니다. 그리하여 1430년 3월부터 5개월간에 걸쳐 역사상 최초의 국민투표가 실시됐습니다. 세종은 "백성이 좋지 않다면 이를 행할 수 없다"고 천명했고, 백성 1.. 더보기
100만명의 목숨을 빼앗은 조선 최악의 기근 경신대기근 조선 현종 11년과 12년(1670 ~ 1671)에 걸친 대기근입니다 1670년 갑작스러운 흉작과 병충해로 인한 곡물 생산량의 급격한 감소, 강력한 태풍의 접근, 치사율이 높은 전염병의 유행 등으로 수도 한양을 비롯한 국토 전체에서 대량의 아사자와 병사자가 발생, 이듬해까지 지속되면서 행정이 마비될 정도의 국가적 위기가 도래한 사건입니다. 불길한 징조는 새해 벽두부터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1670년 음력 1월 1일 새해 벽두부터 속은 붉고 겉은 푸른 햇무리가 관측되었고, 4일에는 달무리가 관측되더니, 1달 내내 햇무리와 달무리가 매일같이 관측되었습니다. 보통은 다음날 비가 내리거나 큰 먼지가 있다는 징조로 해석되는데, 이것이 매일 관측되었다는 것은 심상치 않은 일입니다. 예로부터 하늘에 뭔가 다른 것이 .. 더보기
조선의 신전 종묘 생각하건대 종묘의 위패는 나라의 대본이니, 종묘는 빛남이 있어야 하고, 증제와 상제는 나라의 대사이니 공명해야 한다. 이는 모두 선대부터 왕이 될 징조를 갖게 되어 나에게 이르러서 한 집이 나라로 변하니, 이번 성전을 보고서 내가 심히 스스로 경사로 여겼노라. 조선 태조실록 태조4년(1395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1-2번지에 자리한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의 유교 사당 입니다. 면적은 186,786 ㎡. 태묘라고도 합니다. '종묘사직'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 전제왕조 당시 왕실과 나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였습니다. 1963년 1월 18일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1995년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정식 등재하였습니다. 우리가 .. 더보기
대한제국의 황궁 덕수궁의 서양식 건물들 원래 왕가의 사저인 명례궁이였으나, 임진왜란 직후 행궁으로써 임시 정궁 역할을 했으며, 대한제국 시기에 황궁(皇宮)으로 쓰였습니다.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서울특별시청 건너편에 위치해 있습니다. 원래 세조가 며느리 수빈 한씨를 위해 특별히 지어준 사저였고 이후 한씨의 큰아들 월산대군이 소유했습니다. 한참 후 임진왜란 후 몽진에서 돌아온 선조가 월산대군의 저택이자 별궁인 명례궁을 개조하여 임시 거처인 정릉동 행궁으로 사용한 것이 시초입니다. 광해군, 인조 연간에 창덕궁이 중건된 후 명례궁은 잊혔다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고종이 1897년에 이 곳으로 돌아오면서 역사의 전면에 재등장해 10년 간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사용됐습니다 주변에 외국 공사관이 밀집해있다는 지리적인 이점을 이용하려 .. 더보기